쿡 당파 투표 지수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쿡 당파 투표 지수(PVI)는 미국의 선거구별 투표 성향을 나타내는 지표로, 최근 두 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과 공화당 후보의 득표율을 비교하여 산출한다. 각 선거구의 PVI는 전국 평균 득표율과의 차이를 계산하여 결정되며, D+ 또는 R+로 표기된다. 2022년 7월 12일 발표된 PVI 통계는 연방 하원 선거구와 주별 PVI를 포함하며, PVI는 선거구의 정치적 성향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미국의 선거 - 미국 선거인단
미국 선거인단은 대통령과 부통령을 간접 선출하기 위해 각 주가 선출하는 선거인 집단으로, 각 주는 하원 및 상원 의원 수에 따라 선거인 수를 배정받으며, 과반수(270표 이상)를 획득한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지만, 대중투표 결과와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논쟁의 대상이 된다. - 미국의 선거 - 적색주와 청색주
적색주와 청색주는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과 민주당의 지지 기반을 나타내는 용어이며, 2000년 이후 언론에서 민주당은 파란색, 공화당은 빨간색으로 통일하여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졌다. - 선거학 - V-Dem 민주주의 지수
V-Dem 민주주의 지수는 민주주의 다양성 연구소에서 발표하는 지표로, 선거, 자유, 참여, 숙의, 평등 민주주의 등 다섯 가지 핵심 지수를 포함하여 민주주의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한다. - 선거학 - 선거 제도
선거 제도는 국가 대표자를 선출하기 위한 규칙과 규정의 집합으로, 다수 대표제, 비례 대표제, 혼합 선거 제도로 분류되며, 헌법 또는 선거법에 의해 규정되고 유권자 참여, 의석 배분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며, 콩도르세 기준 등으로 평가되고, 한국은 소선거구제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.
쿡 당파 투표 지수 | |
---|---|
개요 | |
명칭 | 쿡 당파 투표 지수 (Cook Partisan Voting Index, Cook PVI℠, CPVI, PVI) |
목적 | 미국 의회 선거구의 당파적 성향 측정 |
개발 | 쿡 정치 보고서 (The Cook Political Report) |
기준 | 지난 두 번의 대통령 선거 결과 비교 |
특징 | 각 선거구를 다른 선거구와 비교하여 상대적 당파 성향 평가 |
활용 | |
분석 | 선거구의 정치적 성향 파악 |
예측 | 선거 결과 예측 |
전략 | 선거 전략 수립 |
주의사항 | |
해석 | PVI 지수는 참고 자료일 뿐이며, 실제 선거 결과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|
2. 쿡 당파 투표 지수 (PVI) 산출 방법
쿡 당파 투표 지수(PVI)는 최근 두 번의 대통령 선거 결과를 분석하여 계산한다. 우선, 전국에서 민주당 후보와 공화당 후보의 총 득표율 평균을 구한다. 그리고 각 주별, 각 하원 선거구별로 동일한 방식으로 평균 득표율을 계산한다. 그 후, '(해당 지역 민주당·공화당 후보 득표율 - 미국 전체 민주당·공화당 후보 득표율)' 식을 적용하여 PVI를 산출한다.[1]
PVI를 구할 때는 양 대선 결과에서의 양 후보 득표율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고, PVI 값은 다시 반올림하여 자연수로 나타낸다.[1]
2. 1. 계산 과정
쿡 당파 투표 지수(PVI)에는 정해진 공식이 없다.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다.1. 최근 두 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전국적으로 민주당 후보와 공화당 후보의 총 득표율 평균을 구한다.
2. 각 주별, 각 하원 선거구별로 같은 방식으로 평균 득표율을 구한다.
3. 다음 식을 적용한다.
: (해당 지역 민주당·공화당 후보 득표율 - 미국 전체 민주당·공화당 후보 득표율)
예시:
- x년 대선: 민주당 48%, 공화당 50%
- x+4년 대선: 민주당 47%, 공화당 52%
=> 민주당 평균 득표율: 47.5%, 공화당 평균 득표율: 51%
A 선거구:
- x년: 민주당 40%, 공화당 58%
- x+4년: 민주당 41%, 공화당 56%
=> A 선거구 민주당 평균: 40.5%, 공화당 평균: 57%
=> 민주당: 40.5 - 47.5 = -7, 공화당: 57 - 51 = 6
=> A 선거구 PVI: R+6 (공화당이 6%p 더 얻음)
B 선거구:
- x년: 민주당 49%, 공화당 46%
- x+4년: 민주당 51%, 공화당 48%
=> B 선거구 민주당 평균: 50%, 공화당 평균: 47%
=> 민주당: 50 - 47.5 = 2.5, 공화당: 47 - 51 = -4
=> B 선거구 PVI: D+2.5 -> D+3 (민주당이 2.5%p 더 얻음, 반올림하여 자연수로 표기)
PVI를 구할 때, 양 대선 결과에서의 양 후보 득표율은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고, PVI는 다시 반올림하여 자연수로 나타낸다.
2. 2. PVI 값 표현 및 반올림
쿡 당파 투표 지수(PVI)는 최근 두 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전국 및 각 지역별 민주당과 공화당 후보의 평균 득표율을 비교하여 계산한다. 구체적인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다.1. 전국 평균 득표율 계산: 최근 두 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과 공화당 후보의 전국 득표율을 각각 더하여 평균을 낸다.
2. 지역별 평균 득표율 계산: 각 주별, 하원 선거구별로 최근 두 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과 공화당 후보의 득표율을 각각 더하여 평균을 낸다.
3. PVI 계산: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PVI를 계산한다.
- (해당 지역 민주당·공화당 후보 평균 득표율 - 미국 전체 민주당·공화당 후보 평균 득표율)
예시:
- A 선거구:
- x년 대선: 민주당 48%, 공화당 50%
- x+4년 대선: 민주당 47%, 공화당 52%
- 전국 평균: 민주당 47.5%, 공화당 51%
- A 선거구 x년: 민주당 40%, 공화당 58%
- A 선거구 x+4년: 민주당 41%, 공화당 56%
- A 선거구 평균: 민주당 40.5%, 공화당 57%
- PVI 계산: 민주당 (40.5 - 47.5) = -7, 공화당 (57 - 51) = 6
- A 선거구 PVI: R+6 (공화당이 전국 평균보다 6%p 더 득표)
- B 선거구:
- x년 대선: 민주당 48%, 공화당 50%
- x+4년 대선: 민주당 47%, 공화당 52%
- 전국 평균: 민주당 47.5%, 공화당 51%
- B 선거구 x년: 민주당 49%, 공화당 46%
- B 선거구 x+4년: 민주당 51%, 공화당 48%
- B 선거구 평균: 민주당 50%, 공화당 47%
- PVI 계산: 민주당 (50 - 47.5) = 2.5, 공화당 (47 - 51) = -4
- B 선거구 PVI: D+2.5 → D+3 (민주당이 전국 평균보다 2.5%p 더 득표, 반올림하여 3)
PVI를 구할 때, 양 대선 결과에서의 양 후보 득표율은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고, PVI 값은 다시 반올림하여 자연수로 나타낸다.
3. 2022년 발표 PVI 통계
2022년 7월 12일에 발표된 PVI는 다음과 같다.[4][5]
PVI 통계는 하위 섹션인 "연방 하원 선거구"와 "주(State)"에서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.
3. 1. 연방 하원 선거구
3. 2. 주(State)
주 | 영문 주 | PVI | 2016년 대선 | 2020년 대선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민주당 | 공화당 | 민주당 | 공화당 | |||
앨라배마 | Alabama | R+15 | 34.4% | 62.1% | 36.6% | 62.0% |
알래스카 | Alaska | R+8 | 36.6% | 51.3% | 42.8% | 52.8% |
애리조나 | Arizona | R+2 | 44.6% | 48.1% | 49.4% | 49.1% |
아칸소 | Arkansas | R+16 | 33.7% | 60.6% | 34.8% | 62.4% |
캘리포니아 | California | D+13 | 61.7% | 31.6% | 63.5% | 34.3% |
콜로라도 | Colorado | D+4 | 48.2% | 43.3% | 55.4% | 41.9% |
코네티컷 | Connecticut | D+7 | 54.6% | 40.9% | 59.3% | 39.2% |
델라웨어 | Delaware | D+7 | 53.1% | 41.7% | 58.7% | 39.8% |
워싱턴 DC | District of Columbia | D+43 | 90.9% | 4.1% | 92.2% | 5.4% |
플로리다 | Florida | R+3 | 47.8% | 49.0% | 47.9% | 51.2% |
조지아 | Georgia | R+3 | 45.6% | 50.8% | 49.5% | 49.2% |
하와이 | Hawaii | D+14 | 62.2% | 30.0% | 63.7% | 34.3% |
아이다호 | Idaho | R+18 | 27.5% | 59.3% | 33.1% | 63.8% |
일리노이 | Illinois | D+7 | 55.8% | 38.8% | 57.5% | 40.6% |
인디애나 | Indiana | R+11 | 37.9% | 56.8% | 41.0% | 57.0% |
아이오와 | Iowa | R+6 | 41.7% | 51.2% | 44.9% | 53.1% |
캔자스 | Kansas | R+10 | 36.1% | 56.7% | 41.6% | 56.2% |
켄터키 | Kentucky | R+16 | 32.7% | 62.5% | 36.2% | 62.1% |
루이지애나 | Louisiana | R+12 | 38.5% | 58.1% | 39.9% | 58.5% |
메인 | Maine | D+2 | 47.8% | 44.9% | 53.1% | 44.0% |
메릴랜드 | Maryland | D+14 | 60.3% | 33.9% | 65.4% | 32.2% |
매사추세츠 | Massachusetts | D+15 | 60.0% | 32.8% | 65.6% | 32.1% |
미시간 | Michigan | R+1 | 47.3% | 47.5% | 50.6% | 47.8% |
미네소타 | Minnesota | D+1 | 46.4% | 44.9% | 52.4% | 45.3% |
미시시피 | Mississippi | R+11 | 40.1% | 57.9% | 41.1% | 57.6% |
미주리 | Missouri | R+10 | 38.1% | 56.8% | 41.4% | 56.8% |
몬태나 | Montana | R+11 | 35.8% | 56.2% | 40.6% | 56.9% |
네브래스카 | Nebraska | R+13 | 33.7% | 58.8% | 39.2% | 58.2% |
네바다 | Nevada | R+1 | 47.9% | 45.5% | 50.1% | 47.7% |
뉴햄프셔 | New Hampshire | D+1 | 47.0% | 46.6% | 52.7% | 45.4% |
뉴저지 | New Jersey | D+6 | 55.5% | 41.4% | 57.3% | 41.4% |
뉴멕시코 | New Mexico | D+3 | 48.3% | 40.0% | 54.3% | 43.5% |
뉴욕 | New York | D+10 | 59.0% | 36.5% | 60.9% | 37.8% |
노스캐롤라이나 | North Carolina | R+3 | 46.2% | 49.8% | 48.6% | 49.9% |
노스다코타 | North Dakota | R+20 | 27.2% | 63.0% | 31.8% | 65.1% |
오하이오 | Ohio | R+6 | 43.6% | 51.7% | 45.2% | 53.3% |
오클라호마 | Oklahoma | R+20 | 28.9% | 65.3% | 32.3% | 65.4% |
오리건 | Oregon | D+6 | 50.1% | 39.1% | 56.5% | 40.4% |
펜실베이니아 | Pennsylvania | R+2 | 47.5% | 48.2% | 50.0% | 48.8% |
로드아일랜드 | Rhode Island | D+8 | 54.4% | 38.9% | 59.4% | 38.6% |
사우스캐롤라이나 | South Carolina | R+8 | 40.7% | 54.9% | 43.4% | 55.1% |
사우스다코타 | South Dakota | R+16 | 31.7% | 61.5% | 35.6% | 61.8% |
테네시 | Tennessee | R+14 | 34.7% | 60.7% | 37.5% | 60.7% |
텍사스 | Texas | R+5 | 43.2% | 52.2% | 46.5% | 52.1% |
유타 | Utah | R+13 | 27.5% | 45.5% | 37.7% | 58.1% |
버몬트 | Vermont | D+16 | 56.7% | 30.3% | 66.1% | 30.7% |
버지니아 | Virginia | D+3 | 49.7% | 44.4% | 54.1% | 44.0% |
워싱턴 | Washington | D+8 | 52.5% | 36.8% | 58.0% | 38.8% |
웨스트버지니아 | West Virginia | R+22 | 26.4% | 68.5% | 29.7% | 68.6% |
위스콘신 | Wisconsin | R+2 | 46.5% | 47.2% | 49.5% | 48.8% |
와이오밍 | Wyoming | R+25 | 21.9% | 68.2% | 26.6% | 69.9% |
4. 추가 정보
추가 정보 섹션은 쿡 당파 투표 지수(PVI)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을 다루지 않으므로,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필요가 없다.
4. 1. PVI 활용 및 의미
쿡 당파 투표 지수(PVI)는 최근 두 번의 대통령 선거 결과를 바탕으로 산출된다. 먼저 전국에서 민주당과 공화당 후보의 평균 득표율을 계산한다. 그 후, 각 주와 하원 선거구별로 동일한 방식으로 평균 득표율을 구한다. 이 값을 다음 공식에 적용한다.(해당 지역 민주당·공화당 후보 득표율 - 미국 전체 민주당·공화당 후보 득표율)
예를 들어, x년 대선에서 민주당 48%, 공화당 50%, x+4년 대선에서 민주당 47%, 공화당 52%를 득표했다면, 전국 평균은 민주당 47.5%, 공화당 51%가 된다.
A 선거구에서 x년 민주당 40%, 공화당 58%, x+4년 민주당 41%, 공화당 56%를 득표했다면, A 선거구 평균은 민주당 40.5%, 공화당 57%가 된다. 이를 공식에 대입하면 민주당 -7, 공화당 +6이 되어, A 선거구의 PVI는 R+6 (공화당 +6)이 된다.
반면, B 선거구에서 x년 민주당 49%, 공화당 46%, x+4년 민주당 51%, 공화당 48%를 득표했다면, B 선거구 평균은 민주당 50%, 공화당 47%가 된다. 이를 공식에 대입하면 민주당 +2.5, 공화당 -4가 된다. PVI는 자연수로 표기하므로 반올림하여 B 선거구의 PVI는 D+3 (민주당 +3)이 된다.
PVI 계산 시, 양 대선 후보 득표율은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고, PVI는 다시 반올림하여 자연수로 나타낸다.
참조
[1]
웹인용
The differences between real grassroots and 'Astroturf' matter
https://www.cnn.com/[...]
2018-03-14
[2]
웹인용
There are 119 Republican House members who should be VERY nervous today
https://www.cnn.com/[...]
2017-02-07
[3]
웹인용
The Cook Partisan Voting Index (Cook PVI℠)
https://www.cookpoli[...]
2022-07-13
[4]
문서
연방 하원 선거구별 PVI
https://www.cookpoli[...]
[5]
문서
주별 PVI
https://www.cookpoli[...]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